척추협착증 비수술 근육재활치료후기, 엉덩이와 다리 저림 증상 및 통증으로 걷기 힘든 환자분, 통증이 가장 빨리 좋아지는 증상입니다.

“앉아 있고 걷는 게 가장 불편했어요. 허리 아프고 걸을 때 엉덩이, 다리가 당겨서 아팠어요.”

앉아 있는 거 하고 걷는 게 제일 불편했어요. 앉아 있으면 허리 아프고 걸을 때 엉덩이하고 다리 아래쪽 힘줄이 당겨서 아팠어요. 특히 계단 오르내릴 때 많이 아팠어요.



“일을 하다가 통증이 생기니 안 될 것 같아 집에서 한 두 달 쉬었는데 오래 앉아 있으니 허리가 아프고 다리가 당기며 아픈 느낌이 있었어요”

작년 11월 중순까지 일했거든요. 근데 아프니까 ‘이거 안 되겠다’ 하며 한 두 달 집에서 쉬면서 오래 앉아 있으니까 허리가 아프고 걸으면 다리 힘줄이 당기는 것처럼 아픈 느낌이 있었어요. 이게 올 게 왔구나.



“아내 동창이 모커리에서 치료 받았는데 소개 받고 오게 됐어요”

제 아내 동창 중에 모커리에서 치료 받고 간 사람이 있어요. 한 50m 걷고 앉아서 쉬고 그랬어요. 그분은 원래 진통제를 안 먹으면 못 걸었어요. 우리 아내가 동창한테 “옛날에 허리 그렇게 아팠던 거 지금 걷는 거 보면 어떻게 치료했냐” 물어보니까 모커리에서 치료 받았다고 소개해주더라고요. 작년인가 모커리에 와서 입원 치료 받았다고 해서 소개 받고 오게 된 거예요.



“모커리에서 MRI 검사해보니 4번 5번이 좁아졌더라고요”

모커리 와서 MRI 찍어 보니까 4번 5번이 좁아졌더라고요. 협착증이라고요.

이분은 협착증 환자입니다. 이분 MRI 보면서 상태를 설명해 드린 후 어떻게 협착증이 수술 없이 치료가 가능한지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분 MRI에 보시면 4번, 5번 마디의 중심성 협착증이 있습니다.

뒤에 있는 후관절과 황색인대가 두꺼워져서 척추관이 많이 좁아져 있습니다.

여기서 신경 눌림 증상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환자들이 수술 없이도 치료가 가능한 이유는 협착증은 신경 구멍이 좁아져서만 생기는 것이 아니고 나이 들면서 근육이 동시에 나빠졌을 때 협착증 증상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협착증은 노화와 퇴행으로 척추의 신경 구멍이 좁아지고 동시에 근육이 줄어들고 약해지면서 문제가 생기니까 허리를 잘 지탱하지 못하고 그래서 신경이 눌리는 겁니다. 즉 약해져서 뭉치고 뒤틀린 근육을 근육재활치료로 잘 치료해서 근육이 좋아지면 협착증 증상이 좋아지는 겁니다. 즉 근육이 줄어들고 약해지고 뭉치고 뒤틀릴 때 신경 눌림 증상이 생기니까 근육재활치료로 근육만 좋아져도 협착증 증상이 좋아지기 때문입니다.

다르게 설명해 드리자면 이분은 작년 11월쯤 갑자기 다리가 당기고 저리고 아픈 증상이 시작됐는데 아프지 않던 작년 초에 MRI를 찍었다면 지금 보시는 MRI와 많이 다를까요? 99%는 똑같을 겁니다. 신경 구멍의 크기는 아플 때와 안 아플 때가 거의 똑같다는 얘기입니다. 1년 사이에 신경 구멍은 갑자기 좁아지지 않습니다. 그럼 MRI 상 신경 구멍이 좁아진 정도는 같은데도 왜 갑자기 아플까요?

그건 무리한 일을 하다 보니까 60세 넘어서 줄어들고 약해진 근육이 뭉치고 뒤틀리면서 허리를 잘 지탱하지 못하게 되니까 신경 눌림 증상이 생긴 겁니다. 그래서 근육재활치료로 근육 상태만 좋아져도 신경 눌림 증상이 좋아지는 겁니다. 보통 이분처럼 1년 이내 갑자기 생긴 한쪽 다리의 심한 통증은 협착증 증상 중에서도 가장 초기에 가벼운 증상입니다. 그래서 보통 2주 이내의 근육재활치료로 좋아지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그런데도 아직도 많은 분들이 근육의 중요성을 모르고 신경 치료만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근육과 신경은 떼놓고 생각할 수가 없습니다. 근육이 나빠지면 신경 눌림이 심해져서 협착증 증상이 더 악화되고 또 신경이 많이 눌릴수록 근육도 더 빨리 나빠집니다. 반대로 근육이 좋아지면 신경 눌림이 줄어들고 협착증이 좋아집니다. 신경이 눌린다고 하니까 신경 눌림을 풀어 주는 수술만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근육이 좋아져서 허리를 잘 지지해 주면 신경이 덜 눌립니다. 그래서 저희는 근육을 좋게 만들기 위해 협착증에 근육재활치료를 하고 있는 겁니다. 근육이 좋아지면 협착증은 반드시 좋아집니다.

그렇다면 이 근육을 좋게 해주는 치료는 어떻게 할까요. 저희는 근육을 좋게 만들기 위해 한방, 양방을 통틀어 근육에 관련된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치료를 다 합니다. 침, 약침, 봉침, 이완추나, 근육의 피로를 풀어주는 한약, 도수 치료, 물리 치료, 운동 치료까지 여러분이 일상적으로 받고 계신 치료가 대부분 다 근육을 치료하는 겁니다.

그런데 협착증이라는 건 최소 5년에서 길게는 10년, 20년 이렇게 오랫동안 근육이 줄어들고 약해지고 문제가 생기면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근육치료를 통원치료로 왔다 갔다 하면서 몇 번 받는다고 해서 이런 오래된 근육 문제가 바로 해결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게다가 근육재활치료 받으면서 직장 가서 일하고 집에 가서 일하면 회복될 가능성이 더 떨어지겠죠. 그래서 저희는 환자를 입원시켜놓고 하루에도 4번~5번 허리 주변 근육을 치료하고 쉬고, 치료하고 쉬고, 치료하고, 쉬고를 2주에서 4주 정도 반복합니다. 이런 집중적이고 반복적인 협착증 근육재활치료를 우리는 모커리 ABCDE 협착증 치료법이라고 부릅니다.

이런 집중된 반복 치료를 통해 근육 상태가 좀 좋아지면 운동도 시작하게 됩니다. 그런데 운동도 무리한 근력 운동은 오히려 증상을 더 악화시키기 때문에 가벼운 운동이지만 근육의 기능을 살려 주는 운동이 누워서 하는 운동과 실내 걷기 운동 등을 주로 하셔야 됩니다. 이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은 아래 영상을 보시길 바랍니다.

▼ 협착증이 좋아지기 위해서 무조건 매일 해야 되는 2가지 운동 ▼

이렇게 입원해서 치료하고 쉬고 운동하고, 치료하고 쉬고 운동하고를 매일매일 2주~4주 정도 계속 반복해서 근육 상태가 좋아지면 허리를 더 잘 지탱해 주니까 협착증 증상이 훨씬 더 좋아지게 됩니다. 그럼 이분의 근육재활치료 결과는 어떻게 됐을까요. 이분의 치료 후 결과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영상을 꼭 보시길 바랍니다.

모커리 척추관협착증 ABCDE 한·양방 협진 재활치료법

모커리 척추관협착증 ABCDE 한·양방 협진 재활치료법은 수술 없이 협착증을 치료하는 모커리 고유의 비수술 치료방법입니다. 한쪽 다리의 통증만 있는 초기 협착증부터 다리에 힘이 빠지고 몇 걸음 걷지 못하는 말기 협착증까지 ABCDE 척추관협착증 비수술 치료법으로 치료하고 있습니다. 모커리는 수준 높은 임상연구를 통하여 말기 협착증 환자가 ABCDE 재활치료로 통증 없이 걷는 거리가 11배 증가했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객관적으로 증명하여 국제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모커리한방병원 온라인 진료예약